종합편성채널 출범 당시 MBN의 자본금을 불법 충당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MBN 경영진이 1심에서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법원은 이유상 매경미디어그룹 부회장에 대해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, 류호길 MBN 대표에게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들은 지난 2011년 종편의 출범 당시 최소 자본금 3천억 원을 채우기 위해 직원들의 명의로 550억 원을 차명 대출받고 회계를 조작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습니다. <br /> <br />MBN뿐 아니라 채널A와 TV조선 역시 초기 자본금 조성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명박 정부 시절인 지난 2011년 출범한 종합편성채널은 탄생 과정에서 불거졌던 각종 논란과는 별개로 케이블과 IPTV 등 유료방송에서의 채널 의무 배정, 중간광고 허용 등 그동안 여러 특혜를 받아 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시중 당시 방송통신위원장은 "종편이라는 아기를 낳았는데 걸음마 때까지 보살펴야 한다"고 말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편향성 문제부터 오보, 막말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,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4월 채널A와 TV조선에 대해 '조건부 재승인' 결정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TV조선에 대해서는 법정 제재를 연간 5건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는 단서를 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 5월 코로나19 관련 오보에 법정 제재를 받으면서 TV조선의 법정 제재는 이미 5건을 채웠습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다급해지자 TV조선은 법정 제재 2건을 취소해 달라며 방통위를 상대로 행정 소송을 제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검언 유착 의혹을 받는 채널A에는 중대한 문제가 확인될 경우 승인을 취소한다는 조건이 달렸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국민 27만 명이 참여한 재승인 취소 국민청원에 청와대는 "방송의 공적 책임과 공정성에 중대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재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"고 답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MBN의 재승인 심사는 오는 11월로 예정돼 있는데요. <br /> <br />방통위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72420215605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